검색결과4건
연예일반

제9회 가톨릭영화제 개막… 3년 만에 관객과 함께 ‘동행을 위한 회복’

제9회 가톨릭영화제(CaFF)가 팬데믹 3년 만에 대면으로 개최됐다. 가톨릭영화제가 27일 오후 서울 중구 대한극장에서 아나운서 김창옥, 배우 정하담의 공동 진행을 개막식을 개최했다. 가톨릭영화인협회가 주최하고 가톨릭영화제 집행위원회가 주관하는 가톨릭영화제는 이날부터 30일까지 대한극장에서 15개국의 50편(장편 14편, 단편 36편)의 영화들이 상영에 들어갔다. 또 단편경쟁부문에는 15편의 영화들이 대상을 두고 각축을 벌인다. 개막식의 진행을 맡은 정하담은 “재작년에 이어 홍보대사에 다시 불러줘 한번 더 맡게 됐다. 당시에는 코로나 팬데믹이 심해 유튜브 라이브로 진행했다. 두 번이나 영화제에 불러줘 감사하고 영광이다”고 소감을 전했다. 개막식은 이경숙 가톨릭영화제 조직위원장의 선언으로 본격 막을 올렸다. 이경숙 위원장은 “지난 2년간 개막식을 온라인으로 진행했고 3년 만에 직접 만나 반갑다. 개막식을 하게 돼 감사히 생각한다. ‘동행을 위한 회복’인 올해의 주제에 맞게 동참해달라. 마음에 남는 감동적인 영화를 영화제를 통해 만나게 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이어 중앙대 조혜정 교수는 축사를 통해 “가톨릭영화제는 세상의 불합리와 고통에 눈감지 않고 사람을 존중하는 영화들을 발견하는 것이 영화제의 소명이다. 세상에 희망의 불씨를 지필 수 있는 영화제가 되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올해 영화제 단편경쟁 부문에는 팬데믹이 접어든 상황에도 무려 735편의 작품들이 출품됐다. 집행위원장 조용준 신부는 “주제에 맞는 영화를 찾고 고르는 게 쉽지 않았다. 100편 가량의 작품을 봤는데 요즘 어둡고 극단적인 영화를 많이 만드는 시대이다 보니 긍정적 이미지의 영화를 찾기 힘들었다”며 작품을 고르는 어려움도 털어놨다. 이날 사전제작지원 프로그램 심사에 대한 소개도 열렸다. 심사위원장 민규동 감독, 배우 이주실 등이 참여한 심사위원단은 가톨릭영화제의 지원을 받아 제작되는 영화를 선정할 예정이다. 이어 첼리스트 김영환의 초청공연과 개막작 프랑스 이브 코헨의 감독의 ‘신에게 보내는 편지’(15분)이 상영으로 행사를 마쳤다. 제9회 가톨릭영화제는 30일까지 CaFF단편경쟁, CaFF초이스, CaFF애니메이션 단편, 메이드인가톨릭 등 다양한 섹션에서 50여편의 영화들이 관객들과 만난다. 29일에는 관객과의 대화(GV) 시간도 마련된다. 상영작과 상영시간표는 가톨릭영화제 홈페이지(caff.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티켓은 현장에서 자율기부제로 발권할 수 있다. 이현아 기자 lalalast@edaily.co.kr 2022.10.27 20:54
영화

9회 가톨릭영화제 단편경쟁부문 출품작 공모…7월 접수

제9회 가톨릭영화제(Catholic Film Festival 2022)가 10월 27일부터 10월 30일까지 나흘간 열린다. 올해의 주제는 ‘회복을 위한 동행(Walking Together for Recovery)’이다. 팬데믹 이후의 시대를 준비하면서 다양한 영화를 통해 이웃과 사회, 자연과의 관계 안에서 깨닫게 되는 일상적인 삶의 긍정과 희망을 함께 찾아보고자 한다. 가톨릭영화제에서는 7월 한 달간 단편경쟁부문 출품작 공모를 진행한다. 접수대상은 2020년 1월 이후 제작된 러닝타임 30분 이내의 창작 단편 영화이다. ‘회복을 위한 동행’이라는 주제의 작품이면 픽션, 애니메이션, 다큐멘터리, 실험영화 등 장르의 제한이 없고 종교에 무관하다. 출품기한은 7월 1일부터 7월 31일 자정까지 이며, 이메일로 접수를 받는다. 8월 내부 예심을 통해 본선 진출작을 선정, 9월 1일 공식 발표할 예정이며, 본선 진출작은 영화제 기간 CaFF단편경쟁 섹션에서 상영된다. 10월 29일에는 영화 상영 후 GV(감독과의 대화)를 진행하게 된다. 수상작은 영화제 기간 본선 심사위원 회의를 통해 결정되고 대상 수상작을 폐막작으로 상영한다. 단편경쟁부문 수상작에 대한 시상은 10월 30일 오후 7시 폐막식에서 진행한다. 대상 1편 상금 400만 원(CaFF상금 200만 원, cpbc상금 200만 원)과 장비렌탈이용권 100만 원, 우수상 1편 상금 200만 원(CaFF상금 100만 원, cpbc상금 100만 원)과 장비렌탈이용권 50만 원, 장려상 2편과 특별장려상 1편(극영화 이외 장르)에는 각각 상금 140만 원(CaFF상금 70만 원, cpbc상금 70만 원)과 장비렌탈이용권 30만 원을 각각 수여하며, 본선 진출작에 출연한 배우 중 돋보이는 연기를 선보인 배우 1명에게 ‘스텔라상’을, 관객 투표를 통해 ‘관객상’을 시상한다. 지난해 8회 가톨릭영화제 단편경쟁부문 대상 수상작 '건전지아빠'(애니메이션)에 이어 어떤 수준 높은 단편영화를 선보일지 주목된다. 김선우 기자 kim.sunwoo1@joongang.co.kr 2022.05.13 09:46
무비위크

김영민, 8회 카톨릭영화제 홍보대사 위촉[공식]

배우 김영민이 제8회 가톨릭영화제 공식 홍보대사로 위촉됐다. 7회 가톨릭영화제 단편경쟁부문 심사위원으로 활동했던 김영민은 8회 가톨릭영화제에서는 홍보대사와 단편경쟁부문 심사위원으로 다양한 홍보 활동까지 펼칠 예정이다. 천주교 신자인 김영민(세례명 대건 안드레아)은 서울예대 연극학과에서 연극을 시작해 '내게서 멀어지는 것은 작다'(1999), '나운규 '(1999), '레이디 맥베스'(2000)를 거쳐 2001년 김기덕 감독의 '수취인 불명'으로 영화계에 데뷔했다. 이후 영화 '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리고 봄'(2003), '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있다'(2005), '아주 특별한 손님'(2006), '경축! 우리 사랑'(2008), '미안해, 고마워'(2011), '마돈나'(2015), '그물'(2016), '폐쇄병동'(2017), 연극 '돈키호테'(2010), 'M.Butterfly'(2012), '칼집 속에 아버지'(2013), '나무 위의 군대'(2015), '혈우'(2017)를 비롯해 드라마 MBC '베토벤 바이러스'(2008), JTBC '판타스틱'(2016), tvN '나의 아저씨'(2018), MBC '숨바꼭질'(2018) 등 연극과 영화, 드라마를 넘나들며 다양한 작품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특히 2019년 tvN '사랑의 불시착' 장만복(귀때기), OCN '구해줘2' 성철우 목사, 2020년 영화 '찬실이는 복도 많지' 장국영, 2020년 JTBC '부부의 세계' 손제혁 등을 통해 선과 악을 넘나들며 입체적인 연기를 선보여 호평 받았다. 개봉 예정 영화 '크리스마스캐럴' '비광' 등을 통해서는 어떤 모습을 만나게 될지 주목된다. 한편, 8회 가톨릭영화제는 10월 28일부터 10월 31일까지 4일간 충무로역 2번 출구에 위치한 대한극장에서 열린다. ‘감사의 삶’을 주제로 국내외 50여 편의 장·단편 영화를 상영하며, 다양한 부대행사도 열릴 예정이다. 조연경 기자 cho.yeongyeong@joongang.co.kr 2021.08.02 14:02
연예

‘마더 데레사의 편지’ 교황 방한 맞춰 8월 세계 최초 개봉

‘마더 데레사의 편지’가 8월 프란치스코 교황의 방한에 맞춰 세계 최초로 한국 개봉을 확정하고 포스터를 공개했다.영화 ‘마더 데레사의 편지’는 데레사 수녀가 ‘사랑의 선교회’를 만들기 전에 처음으로 몸담았던 인도 콜카타의 로레토 수녀원의 주임신부였던 ‘셀레스테 반 엑셈’ 신부를 포함한 사제들에게 1948년부터 죽기 전까지 50년간 보냈던 편지에 기초해 ‘마더 데레사’가 살아낸 세월과 내면의 고통과 고뇌를 재구성한 작품이다. 생전에 자신은 그저 하느님의 손에 쥐어진 연필에 불과하다는 말로 자신의 활동에 스포트라이트가 쏟아지는 것을 거부했던 마더 데레사는 자신의 사후에 편지를 불태우길 바랐다. 그러나 편지를 공개하는 것이 어쩌면 주님의 뜻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한 엑셈 신부는 마더 데레사의 편지를 책으로 출간했고, 가톨릭 신자인 윌리엄 리에드 감독에 의해 영화로 태어났다. 마더 데레사의 사랑의 가치를 전하는 영화 ‘마더 데레사의 편지’는 2014년 국제가톨릭영화제에서 감독상과 여우주연상을 수상했고, 세도나국제영화제에서 작품상을 수상한 바 있다. 평범한 수녀에서 빈자의 어머니로 거듭나기까지, 우리가 몰랐던 고뇌와 진실의 역사 ‘마더 데레사의 편지’는 프란치스코 교황의 방한에 맞춰 오는 8월 세계 최초로 한국에서 개봉한다. 온라인 일간스포츠 2014.07.22 11:10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