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1건
경제

37년 만에 밝혀진 시신 11구…그 옆에 또 이름 모를 40구는

━ 신군부, "교도소 28명 사망"…17명은 어디에? 5·18민주화운동 직후 옛 광주교도소 안팎에서 매장 상태로 발견된 시신 11구의 신원이 37년 만에야 모두 파악된 것으로 확인됐다. 옛 광주교도소에서는 지난 20일 무연고자 묘지에서 매장 기록이 없는 시신 40여구가 새로 발견돼 이들 희생자와의 연관성에 관심이 쏠린다. 정수만(72) 전 5·18민주유공자유족회장은 23일 “80년 당시 옛 광주교도소에서 매장됐다 수습된 시신들의 신원·사망원인 등 세부 정보를 2017년 말에 모두 확인했고 이를 최근 5·18기념재단에 전달했다”고 말했다. 그동안 광주교도소와 인근에서 발견된 희생자 11명의 신원과 직업, 사망원인·장소 등이 모두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정 전 회장은 80년 5월 당시 사망한 165명의 검시기록과 사망일시, 사체처리 내용 등을 분석했으며 그 가운데 교도소 안팎에 묻혔던 희생자 11명이 누구이며, 어떻게 숨졌는지를 밝혀냈다. 그가 직접 분석한 명단에는 사망일시와 사망원인, 매장방식, 사망장소 등도 세세하게 적혀 있다. 명단에 따르면 희생자 11명은 당시 M16 소총이나 대검, 폭행(타박상)에 의해 숨진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은 5·18 당시 광주교도소 앞이나 교도소 옆 호남고속도로 등에 있다가 사망했다. ━ 희생자들, M16, 대검, 폭행 등에 사망 정 전 회장은 이들의 주소지가 광주(5명)를 비롯해 전남 담양(2명), 화순(2명), 해남, 순천 등이라는 점이 무고한 학살이 이뤄졌음을 뒷받침하는 증거로 보고 있다. 직업도 상업(3명), 운전(3명), 농업(2명), 회사원, 종업원, 보일러공 등으로 다양했다. 5·18 당시 투입된 3공수는 80년 5월 21일부터 24일까지 광주교도소에 주둔하는 과정에서 무고한 시민들을 학살한 것으로 알려졌다. 옛 광주교도소에서는 계엄군이 철수한 직후 교도소 관사 뒤와 인근 야산에서 모두 11구의 시신이 가매장 또는 암매장된 상태로 수습됐다. 5·18 이후 보안대 자료에는 옛 광주교도소에서 시민 28명이 숨졌다고 돼 있으나 실제 수습된 시신은 교도소 관사 뒤 8구, 교도소 앞 야산 3구 등 11구뿐이었다. 5월 단체는 나머지 17명의 시신이 옛 교도소 주변에 버려졌거나 암매장됐을 것으로 보고 있다. ━ 2017년 발굴지점과 불과 100m 이후 5·18기념재단은 2017년 11월 옛 광주교도소 북쪽 담장 부근을 시작으로 암매장 발굴 조사를 벌였으나 성과를 내지는 못했다. 이번에 40여구의 미확인 유골이 발견된 곳은 당시 발굴작업을 했던 곳에서 100m가량 떨어져 있다. 법무부는 이번에 발견된 유골에서 구멍이 확인된 점과 어린아이로 추정되는 작은 크기의 두개골이 나온 점 등을 토대로 유골 80여구에 대한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정밀감식을 의뢰했다. 정 전 회장은 “해당 자료는 5·18 당시 계엄군이 일반인들을 광주 곳곳에서 사살한 증거”라며 “80년 당시 수습된 시신조차도 정확히 어디에서 어떻게 숨졌는지를 37년이나 몰랐을 정도로 5·18 진상규명은 갈 길이 멀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에 발견된 유골 중 두개골에서 발견된 구멍 흔적은 총상이 아닐 가능성이 높다는 전문가 의견이 나왔다. 이날 국과수와 법의학 전문가 등은 두개골에서 발견된 구멍이 총탄이 아닌 다른 물리력에 의해 파손된 흔적일 가능성을 내놓았다. 두개골 흔적이 기존 교도소나 다른 매장지에서 유골을 옮기면서 생긴 손상일 가능성이 크다는 취지의 분석이다. ━ 두개골 구멍, 총상 가능성 작아 회의에 참석한 박종태 전남대 법의학 교수는 “사망 시점에 총상에 의해 생긴 구멍이라면 전체적인 두개골 표면 색깔과 같아야 하는데, 맨눈으로 봤을 때 두개골 표면과 구멍 난 부분의 색깔이 다르다”고 말했다. 이번에 발견된 유골들에 대한 유전자 분석에도 난항이 예상된다. 발견 당시 콘크리트 구조물에 있던 40여구와 봉분 쪽에 묻혀있던 유골 40여구가 모두 보존 상태가 좋지 않아서다. 이중 콘크리트 구조물에 있던 유골은 습기가 차 있어 유전자 분석이 더욱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국과수는 유골 80여구에 대한 분류작업과 정확한 감식을 위해 강원도 원주의 국과수 본원으로 옮길 예정이다. 광주광역시=최경호·진창일 기자 choi.kyeongho@joongang.co.kr 2019.12.24 11:07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