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3건
산업

SK그룹과 시너지 노리는 SK바이오팜 2023년 적자 폭 축소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주목하는 SK바이오팜이 지난해 4분기 흑자 전환에 성공하며 연간 영업손실의 폭을 축소했다. SK바이오팜은 29일 2023년 영업손실이 371억원을 기록하며 재작년(1311억원)과 비교해 적자 폭이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밝혔다. 매출은 44.2% 증가한 3549억원을 기록했다. 순손실은 363억원으로 적자 폭이 축소됐다.작년 4분기 영업이익은 152억원으로 재작년 동기(영업손실 446억원)와 비교해 흑자 전환했다. 매출은 1268억원으로 같은 기간 101.9% 늘었고, 순이익은 78억원으로 흑자로 돌아섰다. SK바이오팜은 국내 최초로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 신약 2개를 보유하고 있다. 또 최태원 회장의 장녀가 SK바이오팜 사업개발본부장으로 몸담고 있어 업계의 관심을 끌고 있다. SK바이오팜 측은 “SK라이프사이언스랩스 인수에 따른 비용이 증가했다”며 “하지만 뇌전증 치료제 '세노바메이트'의 매출 성장과 비용 효율화를 통해 실적을 개선했다”고 설명했다.자사의 대표적 신약인 세노바메이트의 지난해 미국 매출은 2708억원으로 재작년보다 60.1% 증가했다. 세노바메이트의 작년 4분기 미국 매출은 777억원으로 재작년 동기보다 56.2%, 전 분기 대비 2.7% 증가했다.세노바메이트의 4분기 처방 수 증가 추세가 유지됐음에도 전 분기 대비 매출 증가율이 낮았던 것은 지난해 말 도매상의 과도한 재고 증가를 억제했기 때문이다. 이는 올해 초 최대 폭의 약가 인상(6%)과 매 분기 안정적인 흑자 유지를 고려한 것이라는 설명이다. SK바이오팜은 세노바메이트의 성장으로 창출된 현금 흐름과 마케팅 인프라를 통해 신규 모달리티(치료 접근법) 기술 플랫폼과 항암 분야로 영역을 확장할 계획이다. 이동훈 SK바이오팜 대표는 이달 초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에서 “세노바메이트의 지속적인 성장과 SK그룹사와의 시너지를 바탕으로 신규 모달리티 기술 플랫폼과 항암으로 영역을 확장해 대형 바이오기업으로 도약할 것”이라고 했다. 김두용 기자 k2young@edaily.co.kr 2024.01.29 14:44
산업

SK바이오팜, 1조 블록버스터 신약 토대 '제2 치료제' 인수 겨냥

뇌전증 치료제로 미국 시장에서 뿌리를 내리고 있는 SK바이오팜이 신약 개발과 함께 ‘제2의 상업화 제품’ 인수를 선언했다. 이동훈 SK바이오팜 대표이사는 18일 영등포구 콘래드 서울 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안정적으로 현금을 창출하면서 신약에 대한 의사결정을 빠르게 하는 균형 잡힌 '빅바이오텍'이 되겠다"고 말했다. 빅바이오텍은 높은 현금 창출력을 기반으로 혁신 기술을 도입하고 지속해서 신약을 개발하는 기업이다. 현재 SK바이오팜의 매출은 뇌전증 신약인 '세노바메이트'(엑스코프리)가 견인하고 있다.이 매출을 끌어올려 확보한 현금으로 새로운 치료제를 개발하겠다는 설명이다. 이 대표는 이날 'TRUST'로 요약되는 전략을 제시했다. 엑스코프리의 처방 건수(TRx)를 늘려 매출총이익(Revenue Magic)을 늘리고 이를 통해 확보한 현금을 활용해(Uptake) 미래에 각광받을(Towards Future) 신약을 개발하겠다는 것이다. SK바이오팜에 따르면 엑스코프리는 월간 처방 수 2만2000건을 돌파했다. 이 수를 내년에 3만건 이상으로 끌어올려 치료 영역 내에서 의약품 처방 1위를 달성하는 게 목표다. 또 엑스코프리를 10억 달러(1조2600억원) 이상의 블록버스터 신약을 만들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이 대표는 "엑스코프리는 원가가 낮아 매출총이익률이 90% 중반으로 높은 만큼 대부분 매출이 다 수익으로 돌아온다"며 "2032년까지 추정하면 4조원 이상의 한화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이렇게 창출한 현금으로 회사는 표적단백질분해(TPD) 기술, 방사성의약품 치료제(RPT), 세포·유전자 치료제(CGT) 분야 역량을 확보할 예정이다.또 SK바이오팜은 신약 개발과 함께 엑스코프리 판매로 확보한 미국 직접판매 인프라를 최대한 활용해 제2의 상업화 제품도 2025년까지 인수할 계획이다. 제2 상업화 제품은 또 다른 뇌전증 치료제는 아니며 중추신경계 질환 치료 후보물질 중 2~3년 안에 상업화가 가능한 제품을 보고 있다. 이 대표는 “중추신경계 분야에서 항암으로 영역을 확장해 차별화된 비즈니스 모델을 갖춘 ‘빅 바이오텍’으로 재도약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두용 기자 k2young@edaily.co.kr 2023.07.18 17:47
산업

SK바이오팜, 신약 매출 증대에도 1300억 적자 전환

SK바이오팜의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 신약 효과에도 적자를 피하지 못했다. SK바이오팜은 9일 2022년 연결 기준으로 1311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하며 전년(영업이익 950억원)과 비교해 적자전환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공시했다. 매출도 2462억원으로 전년 대비 41.2% 감소했다. 순손실은 1394억원으로 적자로 돌아섰다.작년 4분기 영업손실은 446억원으로 전년 동기 영업이익인 1340억원과 비교해 적자 전환했다. 매출과 순손실은 각각 628억원과 439억원이었다.SK바이오팜은 FDA 승인 신약인 뇌전증 치료제 '세노바메이트'(미국 제품명 엑스코프리)의 글로벌 기술수출과 관련한 수익이 감소하면서 영업 실적이 줄었다고 설명했다.다만 세노바메이트의 미국 매출은 전년 대비 116.3% 증가해 연초에 정한 목표를 초과 달성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4분기 매출도 49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8.2% 증가했다. 같은 기간 미국 내 처방 수는 약 5만건을 달성했다.SK바이오팜은 의료 전문가와 환자를 대상으로 공격적인 영업과 마케팅 활동을 펼쳐 올해에는 세노바메이트의 미국 매출을 2700억원에서 3000억원까지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를 밝혔다.SK바이오팜은 “기존 계약 관련 매출 등 600억원 정도를 포함하면 올해 4분기에는 분기 기준 흑자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그러면서 세노바메이트를 기존에 출시한 15개국에 더해 올해 8개국에 추가로 출시하고, 뇌질환 영역 제품 개발 확대와 연구개발 플랫폼 혁신을 이루겠다는 계획을 밝혔다.FDA 신약 효과가 반감되자 실망 매도가 쏟아지면서 이날 SK바이오팜의 주가는 1.1% 떨어진 71000원에 거래되고 있다. 김두용 기자 k2young@edaily.co.kr 2023.02.09 15:18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