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2건
스포츠일반

출마·대항마·하마평·밴드왜건…알고 보면 재미있는 선거 용어

제20대 대선이 일주일 앞으로 다가왔다. 우리와 친숙한 동물인 말로부터 유래한 선거 용어들의 재미있는 어원을 들여다봤다. 보통 선거에 도전하는 이는 ‘출마’를 선언한다. 출마는 ‘말을 타고 나가다’라는 기본적인 의미를 담고 있지만, 과거에는 말을 타고 나간다는 것이 곧 전쟁에 나간다는 것을 의미했다. 전장으로 향하는 마음가짐으로 선거의 첫 시작에 임한다는 묵직한 의미가 담겨 있다. 경마에서 역시 기수나 경주마들이 참가하는 것을 출마라고 칭한다. 출마가 있으면 반대로 ‘낙마’도 있다. 출마와 마찬가지로 ‘말에서 떨어진다’는 의미다. 또 예로부터 말은 출세나 성공을 의미했기에 관직에 오르지 못하거나 선거 중에 타의에 의해 선거전에서 빠지게 될 때 보통 ‘낙마했다’는 표현을 사용한다. 선거 구도에서 자주 언급되는 단어인 ‘대항마’는 일종의 라이벌을 의미한다. 사전적 의미는 ‘경마에서 우승이 예상되는 말과 결승을 다투는 말’로 선두로 달리는 사람과 견줄 수 있는 사람을 뜻하는 용어로 자주 사용된다. 복병을 뜻하는 ‘다크호스’ 역시 선거나 스포츠 등 경쟁 구도를 빗댈 때 많이 사용되는 단어다. 국회의원 후보를 선출할 때나 정부 내각 개편이 있을 때 우리는 주로 ‘하마평에 오르내린다’는 표현을 한다. 하마평은 ‘하마비’라는 한자어에서 유래한 단어로 하마비는 궁궐이나 종묘 또는 성인 등의 묘소 앞에 세워져 있는 비석이다. 여러 사람이 하마비 부근에 모여 상전들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면서 정치적 인사나 소문 등이 확산되는 데서 하마평이란 말이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정치적으로 특정한 현상을 의미하는 시사용어에도 말과 관련된 말이 있다. 어떤 특정 후보에게 여론이나 언론 등이 집중되면 대중들이 그러한 내용을 확인하고 대세론에 힘이 실리는 현상, 바로 일종의 승자 쏠림 현상을 의미하는 ‘편승 효과’ 또는 ‘밴드왜건 효과’다. 밴드왜건은 미국 서부 개척시대에 등장했던 역마차 또는 악대 마차를 의미하는데 축제나 금광 발견 당시 행렬의 선두에서 요란한 음악으로 사람들을 이끌었다고 한다. 여기에서 기인한 밴드왜건 효과는 앞서 얘기한 대로 달리는 마차에 탑승한다는 의미를 지닌다. 최근 안보 이슈가 떠오르면서 국제 정세 속에서 동맹 관계에 대한 이야기가 거론될 때나 대선 후보들의 국방·외교 공약에서 ‘린치핀(Linchpin)’이란 단어가 종종 언급될 때가 있다. 2010년 6월 한미정상회담에서 버락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이 한·미 동맹을 언급하며 사용해 눈길을 끌었던 단어기도 하다. 린치핀은 마차나 수레 등의 바퀴가 빠지지 않도록 축에 꽂는 핀으로 아주 중요한 부분이나 핵심, 구심점을 의미한다. 김두용 기자 kim.duyong@joongang.co.kr 2022.03.03 19:59
스포츠일반

[경마] 선거에 얽힌 재미있는 경마 이야기

6.2 지방선거가 코앞으로 다가왔다. 여러 후보들이 당선을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이는 선거는 경마와 비슷한 점이 많다. 선거에 얽힌 재미있는 경마 이야기 몇 가지 들어본다. ▲선거용어와 경마용어는 비슷하다?선거는 몇 명의 후보가 나오든 모든 후보가 1등을 목표로 경쟁한다. 경마 역시 모든 경주마들이 우승을 목표로 달린다. 그래서인지 선거에서 쓰이는 말들은 경마에서도 쓰이는 경우가 많다. 선거에 입후보할 때 출마(出馬)한다고 한다. 경마에서 경주마들이 출전신청을 하는 것을 출마등록(出馬登錄)이라고 한다. 선거에서 숨어 있는 강력한 후보를 &#39다크호스&#39라고 하는데 이는 원래 경마에서 뜻밖의 결과를 낼지도 모르는 경주마를 가리키는 용어다. 선거에서 강력한 후보에 맞설 수 있는 경쟁자를 종종 &#39대항마(對抗馬)&#39라고 한다. 대항마는 경마에서도 종종 쓰는 말이다. ▲ 투표계수기가 경마장으로 간 까닭은?경마장에 가면 배당판의 배당률이 실시간으로 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지금은 배당률 계산을 컴퓨터가 하지만 컴퓨터가 없던 시절에는 &#39토털리제이터&#39라는 기계식 계산기가 이를 대신했다. &#39토털리제이터&#39는 뉴질랜드의 죠지 줄리어스가 발명했는데, 원래 용도는 선거에서 표를 계산해주는 투표계수기였다. 하지만 뉴질랜드 정부가 줄리어스의 발명품 구입을 거부했기 때문에 줄리어스는 자신의 투표계수기를 경마 배당률 계산기로 개량했다. 1913년 뉴질랜드의 엘러슬리 경마장은 세계 최초로 토털리제이터를 사용하기 시작했고 지금도 배당률을 자동으로 계산하는 시스템을 &#39토털리제이터&#39라고 부른다. 채준 기자 2010.05.28 13:17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