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4건
산업

올해 1분기 시총 96조 증가...SK·삼성·한미 반도체만 53조 늘어

올해 1분기에 SK하이닉스의 시가총액이 가장 많이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16일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가 국내 증시에서 우선주를 제외한 2692개 종목을 대상으로 집계한 결과, 전체 시총은 올해 1월 2503조원에서 3월 말 2599조원으로 96조원(3.8%)으로 약 100조원 증가했다. 연초 이후 시총이 1조원 이상 늘어난 종목은 35개였다. 시총이 가장 많이 증가한 종목은 SK하이닉스로 103조6675억원에서 133조2244억원으로 29조5568억원이나 불어났다. 삼성전자도 같은 기간 시총이 475조1946억원에서 491조9100억원으로 16조7153억원 증가했다.이어 셀트리온(7조7988억원↑), 한미반도체(7조960억원↑), HLB(6조8830억원↑), 현대차(6조8747억원↑), KB금융(6조4158억원↑), 알테오젠(5조6896억원↑), 삼성물산(5조4192억원↑), 기아(5조657억원↑) 순으로 증가 폭이 컸다.반도체 반등이 눈에 띈다.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 한미반도체의 상승 총액이 53조3681억원에 달했다. 반면 1분기에 주가 하락으로 시총이 가장 많이 감소한 종목은 LG에너지솔루션으로 100조5030억원에서 92조4300억원으로 8조730억원 줄었다.또 시총이 줄어든 종목은 네이버(6조5125억원↓), 포스코홀딩스(5조5817억원↓), 에코프로머티(4조7668억원↓), LG화학(3조8472억원↓), 포스코퓨처엠(3조7569억원↓), HMM(3조3625억원↓), 포스코DX(3조1471억원↓) 등이다.시총 1조원이 넘은 종목은 연초 259개에서 3월 말 263개로 늘었다. 주로 그룹별 1분기 시총(우선주 포함) 변동 현황을 보면 삼성그룹은 718조1455억원에서 754조5284억원으로 36조3829억원(5.1%) 증가했다.4대 그룹에서는 LG그룹의 시총만 하락했다. SK그룹 시총은 179조6757억원에서 207조7517억원으로 28조760억원(15.6%) 증가해 2위를 지키던 LG를 제치고 그룹 시총 2위에 올랐다. LG그룹 시총은 190조20억원에서 177조3129억원으로 12조6891억원(6.7%) 줄며 그룹 시총 3위로 내려갔다.4위 현대차그룹의 시총은 10.5% 증가했다. 138조1219억원에서 152조5616억원으로 늘었다. 김두용 기자 k2young@edaily.co.kr 2024.04.16 10:23
산업

삼성SDI 최근 1년 동안 시총 감소 1위...포스코DX 증가율 최고

최근 1년간 주가 상승으로 국내 주식시장 시가총액이 500조원 가까이 불어났지만 삼성SDI, LG화학 등 일부 이차전지주의 시총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가 국내 주식시장 시총 변동 현황을 분석한 결과, 올해 1월 초 기준 우선주를 제외한 2607개 종목의 시총은 총 2503조원이다. 1년 전인 작년 1월 초의 2011조원에 비해 492조원(24.5%) 늘어난 수준이다.시총 '1조원 클럽'에 가입한 종목은 작년 초 228개에서 올해 초 259개로 31개 늘었다. 1년 새 시총이 1조원 넘게 증가한 종목은 66개다.그러나 삼성SDI는 이 기간 시총이 급감했다. 작년 초 41조3962억원에서 올해 초 32조1130억원으로 9조2832억원이나 줄었다. LG화학도 7조8004억원, LG에너지솔루션도 3조8610억원이 줄어드는 등 이차전지주가 다소 주춤한 양상을 띄었다. LG생활건강(5조7162억원↓), 엔씨소프트(4조2041억원↓), 삼성바이오로직스(2조7046억원↓), F&F(2조187억원↓) 등의 시총 감소 폭이 컸다.시총 1위 삼성전자로 331조3229억원에서 475조1946억원으로 143조8717억원 증가했다. 2위 SK하이닉스 시총은 같은 기간 55조1097억원에서 103조6675억원으로 48조5577억원 불어났다. 또 시총 증가 폭이 큰 종목은 에코프로비엠(18조5920억원↑), 포스코홀딩스(18조2673억원↑), 기아(14조3096억원↑), 에코프로(14조2153억원↑), 포스코퓨처엠(12조4328억원↑), 셀트리온(11조3634억원↑) 등이었다.시총 순위에서는 16개 종목이 새롭게 100위 안에 입성했다. 지난해 연간 주가 상승률이 1000%를 넘은 포스코DX는 작년 초 245위에서 올해 초 38위로 207계단이나 뛰었다.1년간 주가가 500% 이상 오른 에코프로 역시 103위에서 19위로 수직 상승했다. 또 포스코인터내셔널(105위→39위), 한화오션(137위→51위), 금양(178위→63위), 한미반도체(205위→64위), 한진칼(118위→75위), 알테오젠(135위→84위), 코스모신소재(160위→85위), HPSP(209위→97위) 등이 100위 안에 진입했다.반면 작년 초 100위 안에 있던 에스디바이오센서(95위→198위), 팬오션(96위→150위), 카카오게임즈(82위→143위), 한국가스공사(93위→135위) 등은 주가 하락과 함께 100위 밖으로 밀려났다.김두용 기자 k2young@edaily.co.kr 2024.01.11 11:01
산업

시총 1위 에코프로비엠마저 코스닥 1분기 '어닝쇼크' 죽쒔다

이차전지, 게임, 엔터테인먼트 등 코스닥의 주요 종목들이 ‘어닝쇼크’를 기록했다. 14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코스닥 상장사 10곳 중 6곳 이상은 시장의 기대치에 못 미치는 성과를 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2일까지 올해 1분기 실적을 발표한 코스닥 상장사 가운데 증권사 3곳 이상이 실적 전망치(컨센서스)를 제시한 곳은 31개사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증권사 컨센서스에 미치지 못하는 영업이익을 발표한 기업은 20개사(64.5%)에 달했다. 코스닥 시총 1위인 에코프로비엠부터 어닝 쇼크를 기록하는 등 분위기가 좋지 않다. 가장 큰 폭으로 실적 충격을 일으킨 기업은 이차전지 소재 기업인 천보다. 올해 1분기 영업이익 16억원을 기록해 컨센서스(104억원)를 84.3% 밑돌았다. 지난 12일 기준 천보의 주가는 18만5400원으로 1분기 실적을 발표한 지난달 24일 이후 19.04% 하락했다. 이에 같은 기간 코스닥 시가총액 순위 역시 기존 13위에서 18위로 다섯 계단 미끄러졌다.코스닥 시총 10위 기업인 펄어비스도 1분기 영업이익 11억원으로 컨센서스(938억원)를 81.1% 밑돌아 천보의 뒤를 이었다. 카카오게임즈(-58.2%)와 에스엠(-13.2%)도 실적 전망치를 하회했다. 에코프로비엠의 영업이익도 –5.6%로 컨센서스를 밑돌았다. CJ ENM의 경우 시장은 영업이익 152억원을 기대했으나 실제로는 503억원의 손실을 냈다. 코스피에서는 한미반도체(-83.1%)가 가장 부진한 성적을 냈고 시총 1위 삼성전자(-36.0%)와 카카오(-42.0%), 포스코퓨처엠(-47.4%) 등도 기대에 미치지 못한 성적을 냈다.한편 시장 기대치를 가장 크게 웃돈 코스피 기업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130.5%)였다. 전문가들은 현재 국내 증시의 밸류에이션이 높은 수준인 만큼 향후 주가가 내리는 과정에서 코스닥시장이 코스피보다 큰 타격을 입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김두용 기자 k2young@edaily.co.kr 2023.05.14 14:40
경제

호랑이띠 기업인 최고의 주식부호는 정몽구

정몽구 현대차그룹 명예회장이 호랑이띠 기업인 중 최고 주식부호에 올랐다.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가 28일 국내 매출 상위 1000대 상장사의 반기보고서 등을 분석한 결과 이들 기업 대표이사 1439명 중 호랑이띠 경영자는 139명으로 나타났다. 이들 중 5% 이상의 상장사 지분을 보유한 호랑이띠 주요 주주들을 조사한 결과, 정몽구 명예회장이 가장 많은 주식 재산을 보유한 것으로 조사됐다. 1938년 3월생인 정 명예회장의 주식평가액은 이달 24일 종가 기준으로 5조3419억원에 달한다. 정 명예회장은 현대차 계열사에서 4개 주식 종목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이중 현대차와 현대모비스가 각 2조4558억원, 1조7828억원으로 평가됐다. 정 명예회장 다음으로는 1950년생 이채윤 리노공업 대표이사가 1조461억원으로 두 번째로 많았다. 주식재산이 100억원 넘는 기업인은 122명이었고, 이중 30명은 주식가치가 1000억원을 상회했다. 1000억원 주식부호 중 1962년생이 12명으로 최다였다. 이어 1974년생(8명), 1950년생(7명), 1938년생(3명) 순으로 나타났다. 1986년 생중 1000억 원대 주식갑부는 없었다. 1974년생 곽영신 한미반도체 부회장의 주식가치는 6238억원으로 3위에 올랐다. 곽 부회장은 곽노권 한미반도체 창업자의 2세 경영자다. 1950년생으로 동갑내기 범띠에 속하는 조동혁 한솔그룹 회장과 김익래 다우키움그룹 회장도 각 4944억원, 4074억원으로 4000억원대 주식부자 그룹을 형성했다. 3000억원대 주식평가액을 보유한 범띠 기업가는 세 명이다. 1962년생 이호진 태광산업 회장의 주식가치가 3586억원으로 가장 높았다. 이어 1938년생 김기병 롯데관광개발 회장은 3479억원 수준을 보였다. 고 임성기 한미약품 회장의 장녀 임주현 한미사이언스 사장(1974년생)은 3257억원으로 그 뒤를 이었다. 3000억 원대 주식자산에 속했다. 임 사장은 故임성기 한미약품 회장의 장녀이다. 2000억원대 주식재산을 보유한 범띠 주주는 4명이다. 임창완 유니퀘스트 회장(2680억원), 윤재승 전 대웅 회장(2112억원), 박한오 바이오니아 대표(2019억원) 3명은 1962년생 범띠다. 1974년생인 장세준 코리아써키트 사장은 2524억원으로 40대 범띠에 속했다. 장세준 사장은 영풍그룹 총수인 장형진 고문의 장남이다. 이번 조사는 금융감독원 공시 자료 등에서 밝힌 출생연도를 기준으로 이뤄졌다. 김두용 기자 kim.duyong@joongang.co.kr 2021.12.28 11:41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