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3건
경제

AP, 미 안전 규제당국 LG엔솔 배터리 리콜 조사 착수

미국의 자동차 안전 규제 당국이 LG에너지솔루션이 제조한 전기차 배터리 조사에 들어갔다. AP와 로이터 통신은 5일(현지시간) 미국 도로교통안전국(NHTSA)이 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를 장착한 차량 13만8천324대를 대상으로 조사를 시작했다고 보도했다. 이번 조사는 제너럴모터스(GM), 메르세데스-벤츠, 현대차, 스탤란티스, 폭스바겐 등 5개 자동차 회사가 2020년부터 LG 배터리 결함 등에 따른 화재 위험을 사유로 연쇄 차량 리콜을 한 데 이은 후속 조사의 일환이다. NHTSA는 LG에너지솔루션은 물론 이 회사의 배터리 장비를 구매한 다른 자동차 업체들에도 연락을 취해 안전 리콜이 실시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 기관은 자동차 결함이 발견될 경우 제조업체에 리콜을 명령할 권한을 갖고 있다. NHTSA에 따르면 메르세데스 벤츠는 2020년 2월 LG배터리 셀 내부 결함으로 화재 위험이 크다며 2019년형 '스마트 포투' 전기차를 리콜했다. 현대차도 8개월 뒤 비슷한 사유로 2019년형과 2020년형 코나 전기차 회수 조치에 나섰고, 지난해에는 배터리 전기 단락 현상에 따른 화재 위험으로 코나와 아오이닉 전기차를 대상으로 2차 리콜을 시행했다. GM은 2020년 11월 LG 배터리 제조 결함을 이유로 쉐보레 볼트 전기차 14만대를 리콜했다. 스탤란티스는 지난 2월 수십 건의 차량 화재 신고를 접수하고 LG배터리가 장착된 2017∼2018년형 퍼시피카 하이브리드 미니밴을 회수했고, 폭스바겐은 지난달 2021년형 ID4 전기차를 리콜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블룸버그통신에 제공한 성명을 통해 "NHTSA의 이번 요청은 기존 리콜과 연관해 동일하거나 비슷한 배터리가 공급됐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후속 절차로 알고 있다"고고 설명했다. 김두용 기자 kim.duyong@joongang.co.kr 2022.04.06 10:23
경제

미국서 배터리 전쟁 이긴 LG…한국선 잇단 화재 사고로 골머리

LG에너지솔루션이 미국에서 벌어진 SK이노베이션과의 '배터리 소송전'에서 완승하고도 맘 편히 웃지 못하고 있다. 국내에서 LG 배터리를 단 차량의 화재 사고가 속출하고 있어서다. 승용차에서만 화재가 발생하다 최근에는 버스에도 불이 났다. 정부가 조사에 나선 가운데 차량 화재 원인이 배터리에 있는 것으로 밝혀질 경우 LG는 향후 수주에 어려움은 겪는 것은 물론이고 당장 1조원대의 처리 비용을 내놓아야 할 처지다. 주행 중 불 난 전기버스…이번에도 LG 배터리 17일 현대차 등에 따르면 지난 15일 경남 창원에서 현대차가 만든 전기 시내버스가 주행 중 불이 났다. 해당 버스는 2019년 현대차에서 제조한 일렉시티였다. 버스는 차고지로 이동하던 중 배터리가 있는 지붕 쪽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차량은 전소했지만 당시 승객이 없어 확인된 인명 피해는 없다. 버스는 불이 나기 전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PRA)라는 배터리 관련 부품 수리를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화재는 전기차 주행 중 발생한 첫 화재다. 버스에는 LG 배터리가 탑재됐다. 자동차안전연구원과 소방서는 정비내용과 배터리 결함 여부 등 정확한 화재 원인 조사에 나섰다. 현대차도 "화재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조사가 진행 중이다"고 말했다. 문제는 LG 배터리를 장착한 차량의 화재 사고가 이번이 처음이 아니라는 데 있다. LG 배터리를 탑재한 현대차의 코나 전기차(EV)에서는 지난해부터 총 15차례 화재 사고가 발생했다. 코나 EV는 현대차가 2018년 출시한 전기차다. 올해 1월까지 국내 11건, 해외 4건 등의 화재 사고가 났다. 이에 지난해 10월 현대차는 2017년 9월∼2020년 3월에 생산해 전 세계에 판매한 7만7000여 대의 배터리관리시스템(BMS)을 업데이트했다. 이 BMS를 통해 배터리에 이상 징후가 발견되면 배터리를 바꾸는 리콜을 했지만, 이후에도 화재는 계속됐다. 화재 원인을 조사한 한국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은 배터리 문제를 비롯한 다양한 가능성을 놓고 조사를 벌여 대략적인 결론을 낸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전기버스에서도 화재가 발생하자, 연관성 여부를 살펴보고 있다. LG 결함일 경우 막대한 손해 불가피 계속되는 배터리 화재사고는 LG에너지솔루션에게 그 무엇보다 중요한 사안이다. 차량 화재 원인이 배터리에 있다면 향후 배터리 수주에 악영향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또 코나 EV만을 따졌을 경우, 1조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는 당장의 처리 비용도 문제다. 업계는 조심스럽게 화재 원인을 LG 배터리 결함에서 발생한 것으로 보고 있다. 그도 그럴 것이 국토부는 지난해 10월 코나 EV에서 잇달아 화재가 발생하자, 현대차·LG에너지솔루션과 함께 화재 원인에 대한 합동 조사에 착수한 바 있다. 당시 국토부는 차량 충전 완료 후 코나 전기차에서 고전압 배터리의 셀 제조 불량으로 인한 합선으로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확인됐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LG는 곧바로 국토부의 ‘배터리 셀 제조 불량’ 발표를 정면으로 반박했다. LG는 "국토부가 정확한 원인이 규명되지 않은 상태에서 발표했다"며 발표 일체를 부정했다. 하지만 당시 발표는 지난 2018년부터 코나 EV에 화재사고가 계속 발생하면서 국교부 산하기관인 자동차안전연구원이 1년 넘게 조사를 해온 상황이었다. 따라서 곧 있을 국토부 공식 발표도 배터리 문제라고 판명 날 가능성이 높게 제기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 LG 관계자는 "아직 화재 원인이 안 밝혀진 상황인 만큼 조심스러운 입장"이라며 "국토부 조사 결과에 따라 적절한 조처를 할 방침이다"고 말했다. 연이은 화재사고 등 '안정성 논란'이 불거지자 일부에서는 현대차가 자체 개발한 전기차 플랫폼 E-GMP 공급사 선정에 LG에너지솔루션을 택하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현대차는 이달 내로 E-GMP 3차 공급사 발표를 앞둔 상태이다. 1차 수주는 SK이노베이션에게, 2차는 LG에너지솔루션, 중국 CATL을 선택한 바 있다. 3차 배터리 물량은 약 20조원으로, 역대 E-GMP 배터리 발주 중 최대 규모이다. 국내 배터리 3사인 SK이노베이션,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와 중국CATL이 최종 후보에 올랐다. 업계 관계자는 “사고 원인을 규명해봐야 알겠지만, 안정성으로 계속 논란이 되는 것은 확실히 LG에게 마이너스 요인"이라며 ""안정성 논란을 해결하지 못한다면 LG는 3차 공급은 물론 4차에도 배제될 가능성 높다"고 말했다. 앞서 현대차는 2014년 제네시스DH에 장착된 한국타이어 제품의 소음 논란으로 4만3000대가 리콜되는 사태가 발생하자, 타이어 공급사를 한국타이어에서 콘티넨탈·미쉐린·금호·넥센 등으로 다각화한 바 있다. 안민구 기자 an.mingu@joongang.co.kr 2021.02.18 07:00
경제

현대차 코나에 이어 전기버스도 불…같은 LG배터리

현대자동차의 코나 전기차(EV)에 이어 전기 시내버스에서도 화재 사고가 발생했다. 16일 소방당국에 따르면 전날 경남 창원에서 도로를 달리던 전기 시내버스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불이 난 전기 시내버스는 2019년 현대차에서 제조한 일렉시티로, 정비공장에서 정비를 마친 뒤 차고지로 이동하던 중 배터리가 있는 지붕 쪽에서 불이 났다. 이 버스는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PRA)라는 배터리 관련 부품 수리를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국토교통부는 이번 화재 원인에 대해 자동차안전연구원에 조사를 지시했다. 화재가 배터리 셀 내부에서 발생했는지 여부를 밝히는 등 기초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번 화재로 버스는 전소됐으나 당시 버스 내에 승객은 없어서 인명 피해는 없었다. 현대차에 따르면 해당 버스에도 코나EV와 같은 LG에너지솔루션의 배터리가 탑재됐다. 최근 현대차는 코나EV의 화재가 잇따르자 2017년 9월부터 작년 3월까지 제작된 코나 EV 7만7000대를 전세계에서 리콜했다. 업계에 따르면 국토부는 조만간 코나EV의 화재 원인 조사 결과를 발표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번 조사 결과에 따라 코나EV의 배터리시스템을 전량 교체할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토부와 자동차연구원은 앞서 진행 중인 코나 EV 화재와의 연관성이 있는지도 살펴볼 예정이다. 안민구 기자 an.mingu@joongang.co.kr 2021.02.16 14:45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