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2건
산업

주력 수출품 '반도체 파워'…5대 그룹 재계 순위도 좌우

한국의 주력 수출 사업의 ‘반도체 파워’에 따라 재계 순위가 결정되고 있다. 28일 업계에서는 SK가 현대차를 따돌리고 재계 순위 2위로 올라선 건 반도체의 힘이 크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SK는 27일 공정거래위원회가 발표한 ‘2022년도 공시대상기업집단’ 자료에서 자산총액 291조9690억 원으로 삼성(483조9190억 원)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현대차는 257조8450억 원으로 3위로 떨어졌다. 공정위 집계에서 자산 기준 1~5위 재계 순위가 바뀐 건 2010년 이후 12년 만이다. SK는 SK하이닉스 인수로 그룹의 체질 개선에 성공했고, 반도체 사업의 성장에 힘입어 현대차를 따돌리고 재계 2위로 올라섰다. 반도체 매출 증가와 인텔 낸드사업부 인수 등에 따라 SK하이닉스 자산은 20조9000억 원이나 늘어났다. SK하이닉스는 총 90억 달러(약 11조 원)에 인텔 낸드사업부를 인수했다. 지난해 12월 사업 인수에 필요한 1단계 절차를 마쳤고, 2025년 3월 인수계약을 최종 마무리할 계획이다. SK하이닉스의 인텔 인수는 지난해 국내 기업이 투자한 액수 중 단일규모로는 가장 컸다.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지난해 224개 국내 기업의 R&D 투자액을 조사한 결과 60조3675억 원으로 집계됐다. 삼성전자의 투자 규모가 22조5965억 원으로 단연 1위다. 2위 SK하이닉스 투자액 4조448억 원의 5배가 넘었다. 1·2위를 차지한 기업 모두 반도체 부문에 집중적으로 투자했고, 매출 증대 등의 성과를 얻고 있다. 삼성전자는 글로벌 1위 상품인 메모리반도체에 힘입어 창사 이래 최대 분기 매출을 기록했다. 28일 발표한 1분기 실적은 매출 77조8000억 원, 영업이익 14조1000억 원이다. 매출과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각 18.95%, 50.5%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1분기 기준으로 2018년(15조6000억 원) 이후 역대 두 번째로 높다. 반도체 부문의 영업이익은 8조5000억 원으로 삼성전자의 1분기 전체 영업이익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메모리 가격 하락으로 직전 분기(8조8000억 원)보다는 흑자 규모가 줄었지만 시장 전망을 상회하는 실적이다. 이처럼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1위 기업인 삼성전자는 메모리 업황에 따라 실적이 좌우되고 있다. 메모리반도체 가격은 지난해 말부터 하락세로 전환됐는데 올해 1분기 가격 하락 폭이 시장의 예상보다 제한적이어서 선방할 수 있었던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반도체 영업이익 8조5000억 원 중 D램과 낸드플래시 등 메모리반도체의 영업이익은 7조5000억 원 안팎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김두용 기자 kim.duyong@joongang.co.kr 2022.04.29 07:05
경제

당기순익 20.7조원 삼성 1위…롯데 최하위 성적표 -2.7조원

삼성전자와 롯데가 지난해 대기업 중 각 당기순이익 1위, 당기순손실 1위로 조사됐다. 기업분석 전문 한국CXO연구소는 2일 자산 5조원 이상의 국내 71개 기업집단 경영 실적 및 고용 분석 결과를 도출했다. 71개 그룹의 지난해 당기순이익은 약 55조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2019년 64개 그룹에서 기록한 57조원과 비교하면 2조원 남짓 줄어든 금액이다. 삼성은 20조7000억원 이상의 순익을 올려 조사 대상 전체 그룹의 37% 비중을 차지했다. 세부적으로 삼성이 올린 순익 중 75%는 삼성전자(15조6000억원)에서 나왔다. 당기순익 2위는 SK그룹이 차지했다. SK그룹의 지난해 당기순익은 9조8000억원으로 71개 그룹 전체 순익의 17.7% 수준이었다. 이어 현대차(3조9000억원) 7%, LG(3조2000억원) 5.8%, 농협(2조9000억) 5.4%로 5%가 넘는 순익 비중을 차지했다. 한화(1조8000억원)와 포스코(1조6000억원)도 각각 3.3%, 3% 순의 순익 비중을 보였다. 매출 대비 당기순익이 차지하는 당기순익률로 보면 자산 순위 34위 넥슨이 가장 높다. 넥슨의 작년 매출은 3조2000억원이었는데 당기순익이 1조1000억원에 달했다. 이로 인해 당기순순익률 35.6%로 71개 그룹 중 가장 높았다. 이외 엠디엠(26.5%), KT&G(22.9%), KCC(21.7%), IMM인베스트먼트(20.9%)도 순익률이 20%를 상회했다. 지난해 71개 그룹 평균 당기순익률은 3.5%였다. 매출 비중은 삼성이 333조원으로 단연 1위에 올랐다. 71개 대기업 중 매출 비중이 20.8%에 달했다. 이중 삼성전자에서만 발생한 매출이 166조원이었다. 삼성 그룹 다음으로 현대차(181조원) 11.3%, SK(139조원) 8.7%, LG(123조원) 7.7% 순으로 매출 외형이 컸다. 이들 4대 그룹의 매출 규모만 해도 778조원을 넘어섰다. 이는 71개 그룹 매출의 48.5%로 절반에 가까웠다. 이어 포스코(60조원) 3.8%, 농협(59조원) 3.7%, 한화(56조6000억원), 3.5%, 롯데(56조4000억원) 3.5%, GS(48조원) 3% 순으로 매출 비중이 나타났다. 반면 지난해 당기순손실을 기록한 곳은 롯데를 비롯해 모두 14곳(19.7%)이었다. 가장 큰 당기손실을 기록한 곳은 롯데다. 롯데그룹의 지난해 당기손실액은 2조7000억원이 넘었다. 두산(1조7000억원)과 현대중공업(1조1000억원)도 1조원이 넘는 당기손실을 기록했다. 이외에도 S-OIL(7900억원), 금호아시아나(7800억원), 쿠팡(5900억원), 이랜드(5400억원) 그룹도 5000억원 이상의 당기손실을 보였다. 김두용 기자 kim.duyong@joongang.co.kr 2021.06.02 10:59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