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2건
산업

삼성전자 사외이사 연봉킹...1회 출석 2500만원 꼴

삼성전자 사외이사 1인당 평균 연봉이 처음으로 2억원을 돌파했다.28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시가총액 100대 기업 중 전날 오후 5시까지 주주총회소집공고를 제출한 48곳의 사외이사 보수현황을 조사한 결과, 삼성전자 사외이사 1인당 평균 보수는 전년(1억8220만원) 대비 11.5% 오른 2억320만원으로 조사 대상 중 유일하게 2억원을 넘겼다.2018년 사외이사 평균 연봉 1억3700만원을 기록하며 처음으로 1억원을 넘긴 지 5년 만이다.삼성전자는 지난해 총 8번의 이사회를 개최했다. 이사회 참석 횟수로 단순 계산하면 삼성전자 사외이사는 이사회 1회 참석에 2540만원씩 받은 셈이다.삼성전자에 이어 SK텔레콤은 사외이사 1인당 평균 1억6870만원을 지급해 연봉 순위 2위를 차지했다. 이는 전년 대비 1.5% 증가한 수준이다.3위는 평균보수 1억5950만원을 지급한 SK스퀘어였고, 삼성물산(1억4620만원)과 현대자동차(1억1830억원)가 그 뒤를 이었다.이밖에 공시가 완료된 시총 100대 기업 중 사외이사 연봉 '1억 클럽'에는 포스코홀딩스(1억1630만원), SKC(1억1480만원), 네이버(1억1130만원), LG(1억430만원), LG전자(1억430만원), 현대모비스(1억280만원) 등이 포함됐다.반면 2022년 사외이사 1인당 평균 1억원을 지급했던 LG화학은 지난해에는 2% 감소한 9800만원을 지급, '1억 클럽'에서 빠졌다.공시를 앞둔 시총 100대 기업 중 2022년 지급액을 기준으로 볼 때 지난해 연봉 1억원 이상으로 예상되는 기업은 SK이노베이션, SK, SK하이닉스, SK아이테크놀로지, LG디스플레이 등이다.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전기, 삼성바이오로직스, 삼성엔지니어링, 한화솔루션,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대한항공, 고려아연, 포스코DX 등 13곳은 전년 대비 사외이사 1인당 평균 보수액을 줄인 것으로 파악됐다.조사 대상 시총 100대 기업 중 사외이사 연봉이 5000만원 미만인 곳은 코웨이(4200만원), 카카오페이(3750만원), 코스모신소재(3600만원) 등 3곳이다.김두용 기자 k2young@edaily.co.kr 2024.02.28 09:46
경제

국정농단 감시 소홀 '삼성전자 사외이사 재선임' 논란 끝 가결

삼성전자의 사외이사 선임 건이 논란 끝에 가결됐다. ‘동학개미’들의 관심이 집중된 가운데 17일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제 52기 삼성전자 정기 주주총회가 열렸다. 주총 전부터 3명의 사외이사 재선임 건이 논란이 됐다. 김종훈 키스위모바일 회장, 김선욱 전 이대총장, 박병국 서울대 교수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국정농단 수사와 재판 기간에 선임돼 활동했다. 이 부회장이 국정농단 사건으로 실형을 받은 탓에 이들이 감시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했다는 지적이 따랐다. 이날 삼성전자 이사회에서 추천한 사외이사 안건이 주총 최초로 부결되는지 여부에 관심이 쏠렸다. 참여연대와 경제개혁연대 등 시민단체들도 주총이 열리기 전부터 '사외이사 재선임 반대' 플래카드를 걸고 문제 제기를 했다. 세계 최대 의결 자문사인 ISS도 사외이사 재선임에 반대표를 던져 관심이 더욱 고조됐다. 하지만 주총 이전에 삼성전자의 지분 10%를 보유한 최대주주인 국민연금이 찬성 의견을 내면서 이날 사외이사 재선임 건이 가결됐다. 이날 안건으로 상정된 재무제표 승인과 이사 보수한도 승인 건 모두 무리 없이 통과됐다. 사외이사 재선임 건과 함께 이 부회장의 취업제한과 관련한 갑론을박이 펼쳐지기도 했다. 시민단체들은 주총장 로비에서 ‘이재용은 삼성전자 부회장직에서 퇴진하라’는 플래카드를 들고 시위를 벌였다. 주총장에서 발언권을 얻은 참여연대 관계자는 “이재용 부회장이 2년 6개월의 실형을 선고받았는데 이 부회장이 수감생활로 인해 출근형태만 비상근으로 변경됐을 뿐 여전히 삼성의 부회장 자리를 유지하고 있다. 이는 취업제한을 위반한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부회장의 해임에 대한 질문에 김기남 삼성전자 부회장은 “글로벌 네트워크와 미래 사업결정 등 이재용 부회장의 역할을 고려하고 회사의 상황과 법 규정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답했다. 김 부회장은 삼성 준법감시위원회의 역할에 대해서 “사외 독립 조직으로 삼성전자를 비롯한 삼성 관계사들의 준법감시와 통제기능을 강화하기 위함이다. 회사의 의사결정이 적법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준법 수준을 제고가 목적”이라고 말했다. 김두용 기자 kim.duyong@joongang.co.kr 2021.03.17 15:01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