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3건
IT

포털 언론 영향력 법 테두리 안으로…내년 하반기 속도 전망

사실상 언론을 관리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는 네이버와 카카오의 매체 운영 권한이 조만간 법 테두리 안으로 들어올 전망이다. 관련 규제 도입 논의가 이뤄질 가능성이 커져서다. 15일 방송통신위원회(이하 방통위)가 출범한 '포털뉴스 신뢰성·투명성 제고를 위한 협의체'(이하 협의체)는 포털 뉴스 운영 방식을 결정하는 뉴스제휴평가위원회(제평위)와 알고리즘투명위원회(투명위)를 민간 자율기구에서 법정기구로 전환하는 법적 규제를 검토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협의체는 제평위 투명화와 기사 알고리즘 추천 개선 등으로 포털이 본연의 기능인 뉴스 매개자 역할에 충실히 이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방통위가 지난 5월 구성했다. 제평위는 포털과 언론사를 심사해 제휴 여부를 결정하고 광고성·선정적 기사의 판정 기준을 마련한다. 투명위는 기사 배열과 노출 기준을 검증하고 결과를 공개하는 역할을 한다. 규제를 검토하는 협의체에는 방통위·과학기술정보통신부·문화체육관광부 등 정부 관계자와 변호사·교수·연구원 등 11명이 참여한다. 공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세부 명단은 공개하지 않는다. 방통위 등에 따르면 협의체는 지난주까지 네 차례 회의를 열어 포털 투명위와 제평위 제도 개선 방안을 논의했다. 제평위는 포털 사업자 내부에 두되 네이버와 다음에 각각 설치하고, 검색 제휴는 기사 다양성을 제고하기 위해 모든 언론사로 제한을 풀어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인 것으로 알려졌다. 2000년 전후 출시한 포털 뉴스 서비스는 언론사 제휴로 기사를 받아 구독 또는 추천으로 이용자에게 노출하는 구조다. 포털 안에서 다수의 언론사 뉴스를 쉽게 볼 수 있다는 편의성으로 2021년 기준 포털 뉴스 이용률은 79.2%에 달했다. 두 위원회의 판단에 따라 기사의 노출 빈도가 정해지는 셈이다. 하지만 언론사 관리·알고리즘 설계 방식이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투명하게 공개되지 않는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았다. 이와 관련해 정보통신망법 등 법 개정 작업이 내년 하반기부터 본격화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정길준 기자 kjkj@edaily.co.kr 2022.11.15 16:01
IT

민관, 포털뉴스 신뢰성·투명성 강화 머리 맞댄다

포털뉴스의 부당한 기사 배열과 확증 편향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협의체가 출범했다. 방송통신위원회(이하 방통위)는 24일 '포털뉴스 신뢰성·투명성 제고를 위한 협의체'를 구성해 본격적인 논의에 나선다고 밝혔다. 협의체는 포털 중심의 뉴스 서비스 생태계가 공정하게 조성될 수 있도록 미디어 플랫폼의 신뢰성과 투명성 강화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미디어·법학 등 관련 분야 전문가와 관계 부처로 구성했다. 약 6개월간 운영할 예정이다. 2000년 전후 출시한 포털의 뉴스 서비스는 언론사 제휴로 기사를 제공받고, 언론사 구독 또는 추천 서비스로 이용자에게 기사가 노출되는 구조다. 포털 내에서 쉽게 다수의 언론사 뉴스를 볼 수 있다는 편의성 덕분에 2021년 기준 포털 뉴스 이용률은 79.2%에 달했다. 포털 중심의 언론 생태계는 긍정적 기능도 있지만, 뉴스 서비스 제공 방식과 확증 편향 등 문제도 떠올랐다는 게 방통위의 설명이다. 방통위 관계자는 "이용자의 편리함과 권익을 보장하면서도 균형 잡힌 여론 형성을 위한 정책 방안 마련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뉴스 추천 알고리즘으로 인한 기사 배열의 책임성·신뢰성 및 포털의 뉴스 서비스 제공 방식·절차의 투명성 제고를 골자로 하는 '미디어 플랫폼의 신뢰성·투명성 강화'가 새 정부 국정과제로 선정됐다. 방통위는 국정과제의 구체적인 이행을 위해 뉴스제휴평가위원회의 구성·운영에 관한 투명화 방안과 확증 편향을 유발하는 알고리즘 추천 등의 개선 방안을 논의해 포털이 본연의 기능인 뉴스 매개자 역할에 충실할 수 있도록 뉴스 서비스 투명성과 공정성을 강화하는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포털 뉴스 신뢰성·투명성 제고를 위한 협의체는 전문가의 논의를 바탕으로 바람직한 정책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관련 업계와 이용자 등 이해관계자의 의견도 수렴할 방침이다. 안형환 방통위 부위원장은 "이번 협의체로 이용자의 편의성 등 포털 뉴스의 긍정적 기능을 살릴 것"이라며 "포털이 뉴스 매개자라는 본연의 역할을 다해 균형적인 여론을 형성하고, 건전한 언론 생태계를 조성할 수 있는 정책 방향을 고민하겠다"고 말했다. 정길준 기자 jeong.kiljhun@joongang.co.kr 2022.05.24 16:21
스포츠일반

'전세계로부터 '최악 올림픽' 불명예' 일본 매체 보도 눈길

일본 인터넷 매체 닛칸 겐다이는 3일 “일본은 메달 러시로 올림픽 열기가 뜨겁지만, SNS상에서는 전 세계로부터 쓴소리가 빗발치고 있다”는 소식을 전했다. ‘전 세계로부터 ‘워스트 올림픽’ 불명예, NBC 시청률도 엉망진창’이라는 제목의 기사는 일본 포털뉴스 야후 재팬에서 한동안 ‘많이 본 뉴스’ 랭킹 1위에 오르며 화제를 모았다. 닛칸 겐다이가 가장 주목한 부분은 TV 시청률과 관련한 미국 경제 전문매체 블룸버그의 지적이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미국 방송사 NBC의 시청자 수가 2016년 리우올림픽과 비교해 42% 감소했다. 지난 27일까지의 집계 결과다. 이에 따라 NBC는 올림픽 후반기에 기대를 걸면서 광고주들에게는 추가 광고 등 보상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블룸버그는 시청률 저하 원인을 대략 네 가지로 분석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로 인한 관심 저하, 일본과 미국과의 시차 등이 기본적인 시청률 저하의 악조건으로 꼽힌다. 각종 스트리밍 서비스가 등장하며 올림픽을 시청하는 문화가 달라졌다는 것도 악재가 됐다. 미국이 기대했던 여자 체조 선수 시몬 바일스가 경기 출전을 잇달아 거부한 것도 시청률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이 밖에도 닛칸겐다이는 과거와 달리 올림픽 전체를 짓눌렀던 내셔널리즘이 약화됐고, 남자 100m 육상 같은 종목에도 눈에 띄는 선수가 없다는 점도 지적했다. 해당 기사에 일본 네티즌은 “더운 날씨에 올림픽을 여는 건 미국 메이저 방송사의 이권에 따른 결정. 과거(1964년)의 도쿄올림픽은 10월에 열렸다”, “상업주의, 배금주의가 두드러지면 스포츠의 감동을 지우고 있다. 예전엔 선수 입장만으로 감동했다”, “올림픽은 이제 여러 엔터테인먼트 중 하나가 됐다 등의 댓글을 남겼다. 이해준 기자 lee.hayjune@joongang.co.kr 2021.08.03 19:49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