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2건
연예

'정산회담' 전현무, 전무후무 진행 달인 '돌아온 전의장'

전현무가 신개념 재테크 토론쇼 '정산회담'을 통해 '의장'으로 복귀했다. 11일 첫 방송된 JTBC 신규예능 '돈길만 걸어요–정산회담'은 부내나는 내일을 꿈꾸는 시청자들에게 황금빛 '돈길'을 열어줄 재테크 전문가들의 난장 토론쇼. 방송 이전부터 재테크에 관심을 갖고 있는 이들의 관심을 한 몸에 받았다. 첫 번째 의뢰인으로는 시트콤 '똑바로 살아라'에 출연했던 배우 노형욱이 출연했다. '돈반자'들은 각자의 신념에 맞게 현실적이고 살뜰한 조언들로 프로그램을 알차게 만들었다. 전현무는 송은이, 양세형, 양세찬, 붐 등 10인의 '돈반자'들과 함께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다양한 의견들을 한 데 모으는 것은 물론이고, 자타가 공인하는 깔끔한 진행력으로 발언권을 조율하며 프로그램의 중심축 역할을 톡톡히 했다. 돌아온 '전의장'의 존재감을 아낌없이 발산했다. 특히 전현무는 '돈반자'들과 시청자들이 궁금해 할만한 요소들을 적재적소에서 짚어내 정보 전달을 하고, 자칫 정보의 홍수로 진지하게만 흘러갈 수 있는 프로그램의 분위기를 특유의 유머들로 채우며 유쾌함을 높였다. 첫 방송부터 의뢰인과 '돈반자'들의 이해력을 돕기 위해 자신의 경험을 호쾌하게 공유하고, 의장으로서 토론쇼를 안정적으로 이끈 MC 전현무가 앞으로 '정산회담'을 통해 얼마나 쉽고 재미있는 재테크 프로그램을 만들어 갈지 주목된다. 전현무가 의장으로 출연하는 '정산회담'은 매주 화요일 오후 11시에 방송된다. 황소영 기자 hwang.soyoung@jtbc.co.kr 2020.02.12 20:19
연예

[리뷰IS] '정산회담' 첫방, 노형욱 심리 꿰뚫은 無논리 양세형 활약

'정산회담'이 의뢰인 노형욱의 심리까지 꿰뚫은 재무상담으로 시선을 사로잡았다. 경험에서 우러나온 양세형의 조언과 활약은 돋보였다. 11일 첫 방송된 JTBC 새 예능 프로그램 '돈길만 걸어요-정산회담'는 시청자들에게 황금빛 '돈길'을 열어줄 재테크 전문가들의 난장 토론쇼다. 의장 전현무의 진행으로 이뤄졌다. 각 분야의 재테크 전문가 10인 '돈반자'가 소개됐다. 억대 재무설계사로 제2의 인생을 살고 있는 배우 출신 여현수, 경제 크리에이터 슈카, CEO 개그우먼 송은이, 저널리스트 안톤 숄츠, 개그맨 양세형, 양세찬 형제, 요식업계 CEO 이여영, 방송인 조충현, 방송인 붐, 변호사 겸 보험설계사 김종훈이 모습을 드러냈다. 의뢰인이 등장했다. 드라마 '육남매' 시트콤 '똑바로 살아라'를 통해 사랑받은 배우 노형욱이었다. 그는 고정 수입이 없어 아르바이트를 하며 근근이 생활을 이어가고 있다고 밝혔다. 그의 소비 패턴과 고정 지출, 수입 내역들을 살펴보며 이야기를 나눴다. 이를 살펴본 후 노형욱이 현재 고민하고 있는 문제를 언급했다. 곧 드라마에 출연하게 돼 기대 수익으로 약 1000만 원이 생기는데 이 돈을 학자금 대출에 사용할지, 중고차 매입에 써야 할지 고민이라는 것. '돈반자'들은 학자금 대출과 중고차 매입으로 각각 나뉘어 자신의 의견을 어필했다. 중고차 매입을 주장하는 '돈반자'들은 매니저가 없고 촬영에 용이하기 위해, 더 멀리 보고 중고차 매입을 추천했다. 투자 없이 수입이 없기에 수입을 늘리기 위한 방책으로 중고차 매입을 적극 권했다. 학자금 대출의 경우 이자율이 낮기에 이 빚을 잘 활용하면 경제적으로도 보탬이 된다는 논리였다. 전문가다운 식견들이 오갔다. 양세형은 '무논리가 논리를 이기겠다'고 선언하며 학자금 대출을 먼저 갚을 것을 조언했다. 쫓기는 자와 쫓는 자의 입장 차를 예로 들었다. 무언가에 쫓기는 사람은 그 자체가 부담이 되기 마련이라면서 "학자금 대출은 건강한 빚이 아니다. 부동산을 동반하는 빚이 건강한 빚"이라고 강하게 말했다. 빚이 있어봤기에 그 빚의 무게감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었던 양세형. 그 말은 노형욱의 마음을 움직였고 그는 학자금 대출을 먼저 갚겠다고 했다. 심리적 불안을 제거하는 게 자신에겐 우선순위였다. 의뢰인의 재무 상담이 끝난 이후엔 개그맨 남창희가 거리로 나가 2030 세대의 소비 동향과 적금을 현실적으로 살펴봤다. 월 100만 원 이상의 적금을 넣고 있는 비중은 20% 정도가 됐다. 현실을 가감 없이 보여줬다. '정산회담'은 무엇이 맞고 틀리다가 아니라 의뢰인의 성향에 맞춰 각기 다른 전문가들이 재무상담을 해주는 방식이 여타 경제 예능과 달랐다. 정답은 없었다. 의뢰인이 자신에게 좀 더 맞는 방법을 찾아 앞으로의 재무 계획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줬다. 여기에 예능적인 재미까지 소소하게 곁들여지니 보는 재미가 풍성해졌다. 황소영 기자 hwang.soyoung@jtbc.co.kr 2020.02.12 07:56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