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3건
산업

한국 100대 기업, 대만 100대 기업에 역전 허용 이유는

한국 시가총액 100대 기업의 시총과 영업이익이 대만 100대 기업에 역전을 허용한 것으로 조사됐다. 17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한국과 대만의 시총 100대 기업(금융업·지주사·특수목적회사 제외)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한국 100대 기업 영업이익은 2013년 말 88조1953억원에서 2023년 말 71조6491억원으로 18.8% 줄었다.같은 기간 대만 100대 기업 영업이익은 36조3947억원에서 86조960억원으로 136.6% 늘며 한국을 따돌렸다. 시총의 경우 한국 100대 기업이 2013년 말 828조6898억원에서 2023년 말 1565조4222억원으로 88.9% 늘었다. 같은 기간 대만 100대 기업 시총은 540조9574억원에서 1694조8700억원으로 205%나 급증하며 한국을 앞섰다. 양국의 대표 기업인 삼성전자와 TSMC의 성적표에 따라 시총과 영업이익이 갈렸다. 삼성전자와 TSMC의 작년 말 시총은 각각 468조6279억원, 645조5566억원이다. TSMC가 177조원가량 크다. 2013년과 비교하면 삼성전자 시총은 202조947억원에서 266조5332억원으로 131.9% 늘었다. 이 기간 TSMC는 96조1509억원에서 549조4057억원으로 무려 571.4%나 불어났다. 또 이 기간 영업이익은 삼성전자가 36조7850억원에서 6조5670억원으로 줄었다. 반면 TSMC는 7조7238억원에서 38조6278억원으로 늘며 5배나 증가했다. 2023년 반도체 불황기이기도 했다. 2021년까지는 영업이익에서 삼성전자가 TSMC를 앞섰다. 2021년 영업이익은 삼성전자가 51조6339억원, TSMC가 26조6492억원이다. 그러나 이듬해인 2022년 TSMC 영업이익이 48조5960억원으로 늘고 삼성전자 영업이익은 43조3770억원으로 줄면서 TSMC가 역전했다.지난해 두 나라 100대 기업 중 시총 비중이 가장 큰 업종은 IT·전기전자였다.한국 IT·전기전자 기업 15곳의 시총은 766조1971억원으로 100대 기업 중 48.9%를 차지했다. 대만은 IT·전기전자 기업 61곳이 시총 1276조6667억원을 기록해 100대 기업 내 비중이 77.4%에 달했다.김두용 기자 k2young@edaily.co.kr 2024.04.17 11:10
산업

반도체 살아나자 삼성·LG전자의 1분기 실적 극명한 대비

반도체가 살아나자 삼성전자와 LG전자의 1분기 성적표가 극명히 갈렸다. 7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가 1분기에 증권가의 예상치를 뛰어넘는 호실적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전자는 지난 5일 연결 기준 1분기 영업이익이 6조6000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공시했다. 지난해 1분기 영업이익의 10배가 넘는 증가율을 나타냈다. 지난해 동기 6402억원 대비 영업이익이 931.25%나 껑충 뛰었다. 이는 지난해 4분기 2조8200억원보다도 134% 이상 증가세를 보였다. 반도체 업황 개선으로 2022년 4분기(2700억원) 이후 5분기 만에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이 흑자로 돌아선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또 갤럭시 S24의 판매 호 조에 힘입어 모바일경험 및 네트워크사업부도 3조7000억∼4조1000억원 수준 흑자를 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인공지능 플랫폼 '갤럭시 AI'를 품은 갤럭시 S24 시리즈는 세계 주요 지역에서 역대 S 시리즈 사전 예약 판매 신기록을 갈아치우는 등 초기 흥행에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는다.하나투자증권 김록호·김현수 연구원은 "갤럭시 S24 초도 판매량 호조로 기존 전망치 대비 수익성 개선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분석했다.스마트폰 라인업의 '체질 개선'도 호실적에 기여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13년 만에 스마트폰 시장 1위 자리에서 내려왔는데 수익성을 높이기 위해 프리미엄 모델 비중을 높인 영향으로 해석됐다.이에 반해 LG전자의 1분기 영업이익은 지난해 동기 대비 11% 감소한 1조3329억원을 기록했다. LG전자는 강점인 생활가전을 앞세워 1년 전에는 1분기에는 삼성전자보다 영업이익이 앞서는 등 두각을 나타낸 바 있다. 하지만 LG전자는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재료비 인상과 시장 경쟁 심화 등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도 LG전자는 2020년 1분기 이후 5년 연속 1분기 영업이익이 1조원을 웃돌았다. 매출은 21조959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3.3% 증가했다. 이 역시 역대 1분기 매출 최대치다.LG전자는 “구독 등 새로운 사업 방식을 도입하고, 추가 성장 기회가 큰 B2B 사업을 확대한 것이 시장 수요 회복 지연 등의 불확실성을 돌파하는 원동력이 됐다”고 설명했다.여기에 시장 수요 양극화에 대응하며 볼륨존(가장 큰 소비 수요를 보이는 영역) 라인업의 제품·가격 범위를 확대하는 차별적인 시장 전략을 펼친 것도 주효했다는 평가다. 앞서 조주완 LG전자 최고경영자는 올해 초 'CES 2024' 간담회에서 "사업의 한계를 돌파하고 질적 성장을 가속해야 한다"며 B2B 시장의 제품 포트폴리오를 정교화하고 사업 잠재력을 극대화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김두용 기자 k2young@edaily.co.kr 2024.04.07 13:06
산업

상반기 판정승 LG전자, 연간 수익도 최초로 삼성 넘을까

LG전자가 올해 1분기와 2분기 연속으로 호실적을 내면서 2023년 전체 영업이익 부문에서도 삼성전자를 따돌릴 수 있을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LG전자는 차세대 먹거리로 자리 잡은 전장 사업의 성장으로 기대감을 낳고 있는 반면, 삼성전자는 반도체 불황으로 하반기에도 실적 부진이 우려되고 있다. LG전자는 올해 상반기 매출이 40조4147억원, 영업이익 2조3901억원을 기록했다. 지난 7일 공시한 잠정 실적에서 영업이익 8927억원으로 6000억원을 기록한 삼성전자를 1분기에 이어 2분기에도 제쳤다. LG전자는 지난 1분기에 2009년 국제회계기준(IFRS) 도입 이후 처음으로 영업이익에서 삼성전자를 추월한 뒤 기세를 이어나가고 있다. LG전자는 희망퇴직에 따른 일회성 비용 반영에도 작년 동기 7922억원 대비 영업이익이 12.7% 증가했고, 역대 2분기 중 두 번째로 큰 규모의 수익을 냈다. 19조9988억원의 매출은 역대 역대 2분기 가운데 가장 컸다. LG전자 측은 "글로벌 경기 둔화로 인한 수요 회복 지연 및 시장 내 경쟁 심화에도 불구하고 달성한 성과라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LG전자는 하반기에도 전망이 밝다. 가전과 TV 수요가 회복되고 있고 전장 사업의 성장세가 눈부시다. 지난해 첫 흑자를 기록한 전장 사업부는 올해 상반기에 1000억원 이상의 영업이익으로 전년 동기 대비 200%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올해 LG전자가 분기별로 평균 1조원 이상의 영업이익을 거둘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에프앤가이드는 LG전자가 3분기 1조1003억원, 4분기 8635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릴 것으로 내다봤다. 2023년 매출 85조6000억원, 영업이익 4조3540억원이 전망되고 있어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역대 최대치 달성이 유력한 상황이다. 재계에서는 구광모 LG그룹 회장의 선제적 대응이 적중했다는 평가를 내리고 있다. 글로벌 경기 침체에 대비해 지난해 적극적으로 마케팅 활동으로 ‘재고털이’를 한 게 실적 개선으로 연결됐다. 반면 삼성전자는 수장인 이재용 회장이 반도체 감산 결정을 늦게 한 여파로 최악의 한 해를 보내고 있다. 1분기에 6402억원 영업이익에 그친 삼성전자는 올해 상반기 영업이익이 1조2400억원대에 그치고 있다. LG전자와의 상반기 영업이익 격차가 1조1500억원 수준이다. 삼성전자는 통상 영업이익에 60~70%를 차지하는 반도체 부문이 3·4분기에 반등한다고는 하지만 안심할 수 없는 처지다. 삼성전자는 올해 1·2분기에 14년 만에 최저인 6000억원대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증권가에서는 삼성전자가 반도체 분야에서 3분기 2조3000억원, 4분기 8000억원의 영업손실을 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올해 그동안 효자 역할을 톡톡히 했던 반도체 부문에서 흑자 전환이 힘들어 보인다. 김두용 기자 k2young@edaily.co.kr 2023.07.10 06:50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